본문 바로가기
금속 가공 정보

건축 및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특수 용어 & 잘 알려지지 않은 구조 요소

by KaNonx카논 2025. 4. 3.
반응형

 

건축과 건설 현장에서는 일반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다양한 구조적 요소 및 기술적 용어가 사용됩니다.
이번 문서에서는 이전에 소개되지 않은 추가적인 용어와 개념을 소개하며, 각각의 개념, 기능, 위치, 크기 등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

1. 추가적인 건축 구조 요소 용어

📌 1) 타이빔 (Tie Beam)

개념:

  • 기초(Foundation) 또는 구조물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보(Beam)
  • 기둥(Column)과 기둥을 연결하여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역할

기능:

  • 구조물의 안정성 향상 (기둥이 휘는 것 방지)
  • 지진 및 외부 하중에 대한 저항력 증가
  • 벽체 크랙 방지

위치:

  • 지하층 기초 부위, 1층 바닥 아래, 상부 구조물 상단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너비: 200~400mm
  • 높이: 300~600mm

📌 2) 카운터 플래싱 (Counter Flashing)

개념:

  • 벽과 지붕이 만나는 부분에서 방수 처리를 위해 덧대는 금속 판

기능:

  • 빗물 및 습기 침투 방지
  • 방수층 보호 및 내구성 증가
  • 지붕과 벽체 연결부의 내구성 강화

위치:

  • 지붕과 벽이 만나는 부분, 굴뚝 주변, 창문 상부 방수 부위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두께 0.5~1mm (스테인리스, 아연 도금 강판 등)

📌 3) 스타럽 (Stirrups, 전단 보강근)

개념:

  •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보(Beam)나 기둥(Column)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 철근
  • U자형 또는 폐쇄 루프 형태

기능:

  • 콘크리트 부재의 전단 강도 증가
  • 균열 방지 및 하중 분산 역할
  • 기둥과 보의 인장력 보강

위치:

  • 철근콘크리트 보와 기둥 내부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철근 직경 6~12mm
  • 간격 150~300mm

📌 4) 해드룸 (Headroom)

개념:

  • 계단이나 천장 아래의 최소한의 여유 공간

기능:

  • 보행자의 안전 확보
  • 건축 설계 시 사용 편의성 증가

위치:

  • 계단 하부, 천장 낮은 부분, 지하층 입구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최소 2100mm (건축 기준법상 보장되는 높이)

📌 5) 배럴 볼트 (Barrel Vault, 원통형 천장)

개념:

  • 곡선형으로 이어지는 반원통 형태의 천장 구조

기능:

  •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
  • 전통적인 유럽식 건축 요소 (성당, 박물관, 궁전 등에 사용)
  • 음향 효과 증대 (공명 효과 극대화)

위치:

  • 성당, 박물관, 역사적 건축물, 터널형 구조물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반경 3~10m (건물 규모에 따라 다름)

📌 6) 웨더 스트립 (Weather Strip, 방풍재)

개념:

  • 창문, 문 등의 틈새에 장착되어 바람, 먼지, 빗물 유입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금속 소재 마감재

기능:

  • 외부 공기 차단 (단열 및 방음 효과 제공)
  • 에너지 효율 향상
  • 먼지, 빗물, 곤충 등의 유입 방지

위치:

  • 창문, 출입문, 개폐식 구조물의 틈새 부분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두께 2~5mm, 길이 1~3m (맞춤형 제작 가능)

2.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추가적인 기술적 용어

📌 1) 슬립폼 (Slip Form, 이동식 거푸집 공법)

개념:

  • 거푸집을 위로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

기능:

  • 초고층 건물, 교량 기둥, 굴뚝 등에 사용
  • 공사 속도 향상 및 인건비 절감

위치:

  • 초고층 빌딩, 굴뚝, 교량 기둥 시공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거푸집 높이: 1.5~3m (시공 속도에 따라 다름)

📌 2) 매스콘크리트 (Mass Concrete, 대량 콘크리트 타설 공법)

개념:

  • 두께 1m 이상의 대형 구조물을 위한 콘크리트 시공 방식

기능:

  • 온도 균열 방지를 위한 특수 배합 적용
  • 대형 구조물(교량, 댐, 초고층 건물)의 기초 및 벽체 적용

위치:

  • 교량, 댐, 지하철 터널, 원자력 발전소 기초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두께 1~3m 이상

📌 3) 콘트랙션 조인트 (Contraction Joint, 수축 줄눈)

개념:

  •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균열 방지를 위해 미리 설계된 틈

기능:

  •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
  • 수축 및 팽창을 고려한 구조적 설계 요소

위치:

  • 콘크리트 바닥, 벽체, 교량, 도로 포장 구조물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5~20mm, 간격 5~6m마다 설치

📌 4) 후커블 (Hookable, 후크 앵커 시스템)

개념:

  • 콘크리트 면이나 벽체에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후크(고리) 방식

기능:

  • 중장비 설치, 유리 패널 부착, 안전 장비 고정에 사용
  • 기존 건축물에도 추가 설치 가능

위치:

  • 유리 커튼월, 산업용 시설, 배관 고정 장치

일반적인 크기:

  • 후크 직경 10~50mm

3. 결론

건축 및 건설 현장에서는 다양한 특수 용어와 구조 요소가 사용됨
구조적 안정성, 방수, 환기, 내구성 향상을 위한 요소들이 존재함
건설 공법(슬립폼, 매스콘크리트) 및 특수 기술(후커블, 웨더 스트립) 등은 시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

반응형
사업자 정보 표시
㈜로드파크 | 박대희 |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아사길 31-14 | 사업자 등록번호 : 135-86-07055 | TEL : 053-801-0488 | Mail : roadpark1@gmail.com | 통신판매신고번호 : 호 |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