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🐒 개념 정리: 동물의 수 감지 능력
- Approximate Number System (ANS): 개체는 대략적인 숫자 개수를 파악. 소수(1-4) 구간에서는 비교적 정확하며, 숫자가 클수록 비율에 따라 판단 정확도가 ↓
- Ordinality (순서 인식): 몇 마리 대상을 적은 순서대로 나열하거나 “작다—크다” 비교가 가능. 영장류 실험에서 9까지 순차 터치도 수행 .
🧮 어떤 동물이 얼마나 셀까? 대표 사례 8선
영장류 | 침팬지·원숭이: 1–9까지 순서 구분, 계산 문제 해결(예: 2+3) |
까마귀·큰까마귀과(코로나과) | 1–4까지 개수 맞추고 음성으로 카운팅 |
앵무새 (회색앵무) | 수의 크기 인식, 0 개념 이해 가능 |
개 | 간단한 덧셈·뺄셈 놀람 반응(2개 + 1개 연산) |
쥐 | 레버 누르기 수 개수에 따른 능력, 4~16 범위에 대해 근사학습 |
벌 | 색에 따라 ‘+1’ 또는 ‘–1’ 규칙 인식 후 숫자 선택, 0 개념까지 보임 |
어류(모기물고기 등) | 2v3, 4v8, 7v14 등 비율 기반 수 구분, 더하기·빼기 실험도 성공 |
개미 | 최대 20까지 수 추정, +5/–5 수행 가능하며 소통에도 숫자 개념 전파 |
🧐 왜 동물에게 숫자가 중요할까?
- 생존 전략: 포식자 수 파악, 무리의 크기 결정(안전 vs 포식 위험)
- 이동 및 채집 판단: 집으로 돌아올 때 식량 지점까지 랜드마크 수 계산
- 짝짓기 의사소통: 일부 개구리는 짝짓기 구슬 수에 따라 반응을 결정
🧩 수학 이해 수준: species별 비교
- 초급: 소수(1–3/4)에 대한 구분 및 비교 (ANS)
- 중급: 기본 덧셈·뺄셈 수행 (침팬지, 쥐, 벌, 어류)
- 고급: 순서 이해, 0 개념 이해, 음성 카운팅 (앵무, 까마귀)
🎯 요약
- 동물도 수 개념과 간단한 수학을 통해 생존·의사소통·채집·짝짓기를 수행
- 영장류와 조류는 가장 발달한 수준의 숫자 능력
- 어류·개미·벌도 최소한의 계산·추정 능력을 보유
반응형
사업자 정보 표시
㈜로드파크 | 박대희 |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아사길 31-14 | 사업자 등록번호 : 135-86-07055 | TEL : 053-801-0488 | Mail : roadpark1@gmail.com | 통신판매신고번호 : 호 |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
'건강 관련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🦔 에키드나(Echidna): 달걀 낳는 가시포유류의 모든 것! (2) | 2025.07.08 |
---|---|
달빛은 무슨 색일까? 은은한 색 이야기 눈으로 보는 달빛의 색과 과학적 비밀 (2) | 2025.07.08 |
🌬️ 왜 거의 모든 생명체가 산소를 호흡할까? (0) | 2025.06.30 |
풍미·건강·휴대성까지 갖춘 숯불 그릴의 매력과 추천 모델 (2) | 2025.06.25 |
모기 퇴치, 이 방법만 제대로! 과학적으로 검증된 가장 효과적인 모기 피하기 (2) | 2025.06.24 |
댓글